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지식마당 R&D 연구성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도시재생사업단의 테스트베드는

기성시가지 쇠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단에서 개발된 도시재생관련정책, 제도, 기법, 설계 및
시공기술 등 연구성과물을 선택적 패키지 형태로 실제 사업구역 내에 적용하여 기술의 실용성 검증 및
도시재생모델 구현을 위한 일종의 시범적 사업입니다. 이를 통하여 도시재생기술의 완성도를 확보하고,
실용성있는 도시재생모델 구측 및 제도를 정비하여 전국적 확산 추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개념

지역자립형 테스트베드사업은 주택재개발사업 등 기존의 도시정비사업과 지역.지구계, 사업주체, 사업의 종류, 사업시행방법 등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사회경제적 재생을 통한 지역공동체의 자력재생역량 향상과 자력재생역량에 기초한 물리적 환경적 재생의 지역자력재생 선순환구조 형성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지역자립형 도시재생- 개념 구분 및 내용에 대한 표
구분 지역자립형도시재생
재생방향

점진적 부분개량방식 도시재생

재생전략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거버넌스 중심 부분정비(개량) 추진

사회적 재생 -> 경제적 재생 -> 물리적 재생으로 단계별 추진

특성

사회성이 없는 쇠퇴도시(노후주거지구 + 쇠퇴상가지구 포함)

규모

재생이 필요한 생활권 단위 구시가지

특징

사업성이 없는 쇠퇴도시 중 자발적 재생추진 노력이 일부 이루어 지고 있어서 외부의 지원(국가 등)이 일부 투입되면 성공적인 도시 재생이 추진될 수 있는 지역

사업성은 없지만, 지자체의 지원역량(재원, 인력, 자원 등)이 높은 곳

재생에 필요한 자원에 대비해 실제가용자원의 차이(GAP)가 작은 곳

적용기술

재생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쇠퇴지역 재생기법

주민친화형 주거지 재생모델

주민참여 커뮤니티 재생지원시스템

건축물 구조 안전성 평가/보강 기술

물/폐기물 등 환경 재생 기술

에너지 관리 및 신재생에너지 복합 적용 기술 등

전략

지역자립형 도시재생의 추진전략, 정책대상별 추진전략에 대한 표
추진전략
(사회적 재생)지역공동체의 역량강화
(Community Empowerment)

지역 거버넌스(Social Network) 및 공동체 역량강화

공동체 공간의 공공(공익)성 의식화 및 공동행위규범 도출

지역공동체(Local Community) 상생을 위한 공동투자 마인드 향상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로 자활기회 제공 및 사회양극화 해소

(경제적 재생)지역공동체의 기업화
(Community Business)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거버넌스 중심 부분정비(개량) 추진

사회적 재생 -> 경제적 재생 -> 물리적 재생으로 단계별 추진

(물리환경 재생)노후환경개선
(Green Eco Improvement)

주거 및 도시환경개선을 통한 공동체 삶의 질(QCL) 향상

지속가능한 녹색기술 도입으로 도시/국가경쟁력 제고

정책대상계층별 추진전략
(저소득계층)최소한의 삶의 질 보장

National Standard수준으로 주민의 삶의 질 향상(Narrowing the gap)

중점과제 : CB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주요대상지구:노후주거지구

(중/고소득계층)수준 높은 어메니티 제공

지역재창조 및 고품격서비스 제공으로 중.고소득계층 유인

주요대상지구:쇠퇴상가지구

개념

테스트베드 추진은 사업지역 + 사업지구로 두 단계로 추진

사업지역 : 테스트베드 협의회 구성을 통하여 거시적 관점에서의 도시 문제 진단, 방향성 제시 및 사업단위간/
사업주체간/관련부서간 업무 내용 협의·조율을 통하여 해당 도시의 체계적 재생 추진

사업지구 : 도시재생사업지구 협의회 구성을 통하여 해당 지구(노후주거지구, 쇠퇴상가지구)에 사업단에서 개발된 기술
적용하여 실질적인 재생 실현

☞ 이 과정에서 사업의 추진은 사회적 재생 → 경제적 재생 → 물리적 재생이라는 단계별 추진전략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함

자력 재생 선순환구조는 사회적재생, 경제적 재생, 물리적 재생이라는 단계별 추진전략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력수복형 도시재생의 프로세스는 지자체, 기업/대학, 주민/NGO로 커뮤니티 조직화 및 거버넌스 구축과 SEED Money확보의 업무를 하는 사회적자본형성,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 및 안정적 소득 확보와 교육, 문화, 돌봄, 재활용 등 사회적 서비스 제공 업무를 하는 커뮤니티의 기업화, 노후 건축물 보수/정비, 노후 기발시설 정비와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기술, 신재생에너지 활용기술 적용 등의 업무를 하는 자발적 환경 개선이 있다.

개념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은 쇠퇴한 구도심 및 역세권을 대상으로 토지 및 도시공간을 보다 효율적 활용 및 신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거/업무/상업 문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혼합하여 지역을 개선하는 방식의 도시재생사업을 의미합니다.

복합개발형 도시재생- 개념 구분 및 내용에 대한 표
구분 복합개발형도시재생
기본개념

토지의 효율적 이용 및 신기능 도입을 통한 경제 및 커뮤니티 활성화

대상지역

쇠퇴 구도심 및 역세권

주체

민-관-주민 다양한 이해당사자 협력체계

순환구조

물리(신기능 창출)⇒경제(고용창출 및 외부유입)⇒사회(교육,문화,복지)

기대효과

신기능 도입 물리환경 개선

외부유입 수입증대, 고용창출

문화, 복지개선 지속가능 커뮤니티 조성

테스트베드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개발된 연구성과물을 실제 사업에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적합한 복합개발형 도시재생 사업모델을 도출코자 하며, 이를 통하여 기존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술적 및 정책적 지원 기반을 마련코자 합니다.

추진방향

복합개발형 도시재생의 추진방향에 대한 표
추진방향
참여주체간 리스크를 합리적으로
분담할 수 있는 사업 추진

개발사업 추진체계 다각화 및 그에 따른 재원조달 다양화

계획-개발-운영에 이르는
사업 전 단계의 체계적 사업관리

장기간 사업추진에 따른 변화/위험관리를 고려한 사업관리

사업추진 시 사업 추진 후 운영관리를 고려한 사업관리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사업에 대한
공공의 적극적 사업관리

광역적 차원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을 계획적으로 관리

복합개발 사업의 공공의 편익과 사업성을 고려한 사업추진 유도

유치기관 및 기관의 사업에 복합개발 재생사업 전(全)단계(사업기획→사업추진→유지관리)에 걸쳐 적용되도록 개발된 시스템 및 R&D기술 지원

사업기획 단계 각종 평가지표(거시경제, 시세, 임대료, 지역파급효과 등)를 고려하여 사업 후보지 선정, 사업추진 타당성 검증 등을 통하여 사업추진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및 리스크 관리와 재원조달기법 지원
사업기획 단계 주요 내용은 도시재생 필요지역 선정의 1차 대상지 검토, 개략적으로 사업가능성 타진의 예비타당성 검토, 적합한 시설 검토의 시설검토, 사업가능 여부검토의 타당성 분석, 지역파급 효과 검토의 효과분석, 재원조달방안의 재원조달 순서로 이루어져있다.
사업추진 단계 사업계획, 설계, 시공단계를 중심으로 업무 프로세스 기반 사업관리(사업비, 사업기간, 리스크, 성과, 변화관리 등) 시스템 제공 및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공간 및 설계매뉴얼, 지반조사 및 구조, 공법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업추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
유지관리 단계 사업 추진 후 복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 지원

부산TB

부산 동래역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 전경
  • 사업명:동래역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
  • 유치기관:부산교통공사
  • 위치: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51102번지 일원
  • 부지면적:29,618 ㎡
  • 도입시설:환승시설, 환승지원시설(공공시설,업무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문화시설 등)

천안TB

천안 복합테마파크 조성사업 전경
  • 사업명:천안 복합테마파크 조성사업
  • 유치기관:천안시
  • 위치:충남 천안시 동남구 문화동, 오류동 일대
  • 부지면적:22,643 ㎡
  • 도입시설:공공청사, 주상복합, 공원/도로 업무시설 등

사업화모델

대규모 입체·복합 개발 사업 시 사업주체가 사업추진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사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사업화 모델 및 도구

① 1차 대상지 검토
: 도시재생 필요지역 검색
② 예비타당성 검토
: 주변 시설물 시세 이용 예비타당성 분석
③ 시설선정
: 시설별 공급 가능 최대면적 및 핵시설(주요시설 선정)
④ 타당성 검토
: 임대료 및 분양가 추정 -> 최적 면적비율 도출
⑤ 파급효과 분석
: 공간계량모형을 이용 해당 시설의 지역 내 또는 주변지역으로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인구변화, 고용변화, 지방재정수입 변화 등)

입체·복합 공간계획 및 설계매뉴얼

매뉴얼, 기술개발집 및 사례집의 제공으로 도심 공간에서 주거·상업·업무·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입체적으로 혼합하여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압축적이고 효용가치가 높은 도시환경을 창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매뉴얼(총6권) 구성 입체/복합 건축공간, 매개공간, 환승체계, 도로 매뉴얼 및 기술개발집, 사례집
매뉴얼 및 사례집을 통한 기능 관련 그래프

입체·복합 공간구조 및 공법

다양한 규모와 용도별 공간 수요에 탄력적으로 적용 및 대응할 수 있는 신개념 입체/복합 공간구조 시스템 개발을 위해, 단위모듈 공간개념을 도입한 구조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대형부재 시공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양중 및 시공단계별 해석기법 개발

주요내용
  1. 1. 복합용도공간 대응형 구조시스템 및 시공기법 개발
  2. 2. 지반/지하공간 자료 디지털 정보화 시스템
  3. 3. 시공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단계 해석기술
  4. 4. 도심지 대규모 지하공사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5. 5. 경량화를 위한 FRP를 이용한 경량콘크리트
  6. 6. 휨·압축을 받는 HSB800 기둥부재
  7. 7. 워터젯 암반굴착 공법
상단 : 구조시스템 해석, 중단 : 일체형 유닛 모듈러 개념도, 하단 : U형 PC공법의 시뮬레이션

사업관리시스템(i-PgMIS)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 바탕의 종합사업관리 프로그램

메가프로젝트의 기획․계획단계에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표준화된 사업비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발주자의 의사결정을 지원

사업타당성을 고려한 건설기간의 검토와 조정 등 사업초기 단계에서 비용기반 일정계획을 지원함으로써 사업의 성과 향상

3D공간 기반 시설물 모델링 및 공사비 시뮬레이션 도출을 통한 체계적 의사결정 지원

지능형 통합프로그램 관리 시스템(i-PgMIS) 구성도, 1. 핵심기술 시스템 링크, 2.사업수행절차, 3. 사업수행 절차 별 핵심기술 운용, 4. 상단메뉴 클릭 시 화면, 5. 구. 3핵심시스템과 링크